히스토리
2022 | ‘㈜산돌’ 코스닥 상장 주식회사 산돌이 업계 최초로 코스닥에 상장했습니다. ‘네이버’ 전용폰트 「나눔스퀘어 네오」 개발 ‘라인’ 전용폰트 「LINE Seed」 개발 ‘쿠팡’ 전용폰트 「쿠팡 산스」 개발 NFT 프로젝트 ‘티피’ 공개 → '산돌메타랩'이 NFT를 분리하고 결합하는 고도화된 블록체인 기술을 한글의 과학적 원리와 연결한 프로젝트를 공개했습니다. 이미지 폰트 검색 서비스 앱 '폰트폰트' 런칭 → |
2021 | 자회사 ‘산돌 메타랩’ 설립 신기술을 연구하고 활용하여 다양한 범위의 창작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갑니다. '라이엇 게임즈' 전용폰트 「LCK 타이틀」 「LCK 서브타이틀」 개발 → 금융 플랫폼 '토스' 전용폰트 「토스 프로덕트 산스」 개발 → |
2020 | 산돌구름이 사용자들의 편의와 자유롭게 폰트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라이선스 구분을 전면 폐지했습니다. ‘산돌구름 모바일’ 출시 「Sandoll 그레타산스」 개발 → 네덜란드 서체 회사 티포텍의 대형 다국어 패밀리 「Greta Sans」의 한글 버전입니다. |
2019 | 'ATypI 2019’에서 CJK 제작 노하우 공개 세계 최대 폰트 컨퍼런스 'ATypI'에 참석 및 발표했습니다. 이커머스 플랫폼 ‘배달의 민족’ 전용폰트 『을지로체』 시리즈 개발 → |
2018 | '(주)산돌'로 법인 분할 폰트 사업 확장 및 서비스 강화를 위한 법인 분할 ‘산돌구름’ 폰트 플랫폼으로 서비스 영역 확대 다양한 파운드리의 폰트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'산돌구름'의 서비스가 확대되었습니다. '칠성조선소' 전용폰트 「Sandoll 칠성조선소」 개발 → 「Sandoll 호요요」 개발 → 산돌에서 최초로 개발한 가변폭 폰트입니다. 기존의 틀과 형식을 깨는 파격적인 폰트로, 사용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합니다. 「Sandoll 네모니」 개발 → 기존의 꽉 찬 네모틀 서체보다도 훨씬 다양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게끔 밝고 명랑한 인상을 특징으로 제작된 폰트입니다. |
2017 | 「현대 산스」 <2017 iF Design Award> Winner 「현대 산스」 <2017 Red Dot Award> Winner |
2016 |
‘카카오프렌즈’ 전용폰트 「카카오프렌즈」 개발 「나눔스퀘어」 <2016 GRANSHAN> 한글 부문 1위 「Sandoll 늦봄」 <2016 GRANSHAN> 한글 부문 2위 |
2015 | 「Sandoll 제비2」, <2015 GRANSHAN> 한글 부문 1위 |
2014 | 클라우드 폰트 서비스 '산돌구름' 런칭 산돌 폰트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있는 '산돌구름'을 런칭했습니다. 구글, 어도비가 함께 제작한 CJK 공통 오픈소스 글꼴 「본고딕」 공개 → 산돌은 한국의 대표 폰트 파운드리로서 본고딕의 한글 디자인을 맡았습니다. 「Sandoll 명조Neo1」, 「Sandoll 고딕Neo1」 <GRANSHAN 2014> 한글 부문 각각 1위, 2위 「Sandoll 도쿄」 <GRANSHAN 2014> 디스플레이타입 부문 1위 |
2011 | 『Sandoll 고딕Neo』 시리즈, 「Sandoll 고딕Neo1」 개발 산돌의 기술과 경험을 집약하여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된 본문용 폰트입니다. ‘Apple’의 OS X와 iOS에 「Apple SD 산돌고딕 Neo」 탑재 |
2008 | 한글 문화 상품 전문회사 ‘㈜산돌티움’ 설립 국내 최초 기업 전용폰트 『삼성체』 개발 삼성과 함께 개발한 기업 전용폰트입니다. 사용자와의 모든 접점에서 삼성만의 일관된 경험을 할수 있도록 제작되었습니다. 네이버 전용폰트 「나눔고딕」 개발 |
2007 | ‘한일 타이포그래피 포럼’ 주최 |
2003 | ‘현대카드’ 전용폰트 「유앤아이」 개발 |
2002 | ‘Microsoft’ 「맑은 고딕」 프로젝트, 메뉴얼 힌팅 기술 최초 적용 한글 폰트를 윈도우즈에 탑재하기 위한 프로젝트 파트너사로 산돌이 참여했습니다. |
1995 | ‘(주)한글과컴퓨터’에 서체 패키치 한글맵시 공급 |
1992 | 「Sandoll 제비」 개발 → 명조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산돌의 대표적인 본문용 폰트입니다. |
1984 | 산돌, 긴 역사의 시작 일본에서 식자를 수입해 한글을 사용하던 현실에 충격을 받은 석금호 대표(당시)가 한국 최초의 폰트 파운드리 산돌타이포그라픽스를 설립했습니다. |